Programming/etc..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란?

Fabric 2020. 6. 12. 22:14
반응형

프레임워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이 전글에서 다루었다.

 

그렇다면 프레임워크의 대표(?)격인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무엇일까?

사실 내가 알고 있는 프레임워크가 스프링프레임워크밖에 없다능..ㅠㅠ

 

삼성SDS에서 오픈소스로 공개한 애니프레임(anyframe)도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기반이고, 전자정부프레임워크도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기반이다. 심지어 sap erp 프로젝트를 수행할때도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이었다.
 

서론이 더 길어지기 전에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는걸로 하자;;;

 

 

위키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찾아보면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이렇게 정의되어 있다.

 

다른 정의를 보면

 

 - 자바(JAVA)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Open Source)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Framework)
 -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자바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종속 객체를 생성해주고,  조립해주는 도구
 - 자바로 된 프레임워크로 자바SE로 된 자바 객체(POJO)를 자바EE에 의존적이지 않게 연결해주는 역할.

 

라고 되어있고, 특징을 보면

 

 - 크기와 부하의 측면에서 경량.

 - 제어 역행(IoC)이라는 기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느슨한 결합을 도모.

 - 관점지향(AOP) 프로그래밍을 위한 풍부한 지원을 함.

 - 애플리케이션 객체의 생명 주기와 설정을 포함하고 관리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컨테이너(Container)라고 할 수 있음.

 - 간단한 컴포넌트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설정할 수 있음.

 

1)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2) 스프링은 POJO(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

   일반적인 J2EE 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3) 스프링은 제어 반전(IoC : Inversion of Control)을 지원.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한다.
4)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을 지원

   각각의 계층이나 서비스들 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프레임워크가 서로 연결시켜준다.
5) 스프링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 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

   따라서 트랜잭션이나 로깅, 보안과 같이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6) 스프링은 영속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

   iBatis나 Hibernate 등 이미 완성도가 높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라이브러리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7) 스프링은 확장성이 높음.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기존 라이브러리를 감싸는 정도로 스프링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러리

   가 이미 스프링에서 지원되고 있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와 같다.

 

 http://ooz.co.kr/170

 

요 사이트에서 퍼온 자료인데, 너무 정리를 잘 해주셨다.

 

위의 특징들을 읽고 한번에 모든게 이해가 된다면 좋으련만....이해가 되질 않으니,

다음번에 하나씩 짚어서 이해를 해보자.

 

POJO, IoC, DI, AOP 에 대해서 차례로 짚어보자!

 

 

------------------------------------------------------------------------------------------------------------

 

 

아! 혹시 스프링프레임워크에 대한 역사(?), 우리나라에 스프링이 정착하게 되는 히스토리 등이 궁금하다면!

 

http://blog.naver.com/mybrainz/150094702629

 

요 블로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간단히 요약하면,

Rod Johnson 이 2002년 출판한 자신의 저서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에 선보인 코드가 시초가 되어, 2003년 6월에 아파치 2.0라이센스로 공개가 되었다. 이후 빠른 속도로 확산되며 자바 엔터프라이즈 프레임워크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데, 자바5에 포함된 언어차원의 개선을 반영하고, 약점을 보완하여 아직도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빠르게 적용되지 못했는데, 스프링을 적용하려고 해도, 영문으로만 되어있었고, 기술지원이 원활치 않아서 그랬다고 한다. 그런데 spring을 기반으로 한 anyframe과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오픈소스로 풀리면서, 한글로 된 api문서가 제작이 되어 개발자들이 적용하기 쉬워졌고, anyframe이나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같은 경우 기술적인 문의 및 답변이 가능하여 우리나라에서도 spring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고 한다.

 

원글에는 훨~~씬 더 방대한 자료와 설명이 있지만 이만 줄이는 걸로.

결론은 영어의 장벽때문에 쉽게 진입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흙흙.... 영어공부 해야하는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