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CS Basic

쿠버네티스 (Kubernetes)

Fabric 2022. 7. 3. 13:29
반응형

container는 app을 패키징하고 실행하는 좋은 방법임.

운영환경에서는 app을 실행하는 container를 관리해야 함.

쿠버네티스는 분산 시스템을 탄력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framework을 제공함.

여러 서버에 container를 분산해서 배치하거나, 문제가 생긴 container를 교체하거나, container가 사용할 비밀번호나 환경설정을 관리하고 주입해주는 일을 함 - container orchestration

 

기술

- 마스터 : kubernetes node를 제어하는 머신

- 노드 : 할당된 task를 요청대로 수행

- pod : 단일 노드에 배포된 하나 이상의 container group. 

- 복제 controller : cluster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동일한 pod 사본의 개수를 제어

- service : pod에서 작업 정의를 분리함. 

- kubelet : 노드에서 실행. container manifest를 읽고, 정의된 container가 실행중인지 확인

- kubectl : kubernetes 명령 CLI ( command line interface )

 

특징

- Self healing

-> container를 모니터링하며, 장애발생시 해당 container를 빠르게 재시작함.

 

- Auto scaling, Load balancing

-> traffic 증가시 자동으로 container를 늘리고, 부하 분산을 하고, traffic이 정상상태로 오면 container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함.

 

- Fault tolerance

-> 점진적 업데이트를 통해, 서비스를 중단하지않고, app을 업데이트 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