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Block Storage ( 블록 스토리지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덩어리(블록)로 나누어 저장됨. 블록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음. SAN 또는 DAS에서 사용함. 정형화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 주차장 - 특정공간에 차를 주차하듯이 정해진 블록에 데이터를 저장함. 장점 고유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에 신속하게 접근이 가능함.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어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 액세스가 가능함. 대규모 DB 운영에 잘 맞음 단점 비용이 많이 듦. 2. File Storage ( 파일 스토리지 ) 파일과 폴더의 계층구조로 이루어짐. ( 윈도우 탐색기 ) 파일을 찾으려면 계층구조의 경로를 알아야 함. 이름, 위치, 생성일, 수정일, 크기 등의 메타데이터를 가짐. NAS에서 주로..
Programming/CS Basic
2022. 7. 6. 07:5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문자체크
- anyframe
- 자바
- OSI7layer
- 숫자체크
- 쿠버네티스
- Java
- RDB
- docker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열혈강의
- 열혈강의 프로그래밍
- block storage
- 오브젝트 스토리지
- Kubernetes
- 블록 스토리지
- Framework
- M2E
- object storage
- 자료구조
- C언어
- file storage
- Spring
- 정규식
- 코딩
- 도커
- 개념
- 특징
- C
- 파일 스토리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