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그래밍 언어?
- 사람과 컴파일러가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언어를 의미
컴파일러(Compiler)의 역할?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기계어로 번역
왜 C언어라고 불리우나?
- B언어 다음에 등장하여 C언어이다. (흔히 Computer의 약자로 많이들 오해하고 있죠.^^;; 저도ㅋ)
저급언어(Low Level) -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
고급언어(High Level) -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
(But, 저급언어라고 해서 좋지 않고, 고급언어라고 해서 좋은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니 오해하면 안되요.
단지 기계어에 가까운지, 사람이 이해하는 것에 더 가까운지의 차이입니다.)
C언어의 특징
- 절차지향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는 의미인데요. 사람이 보통 계획을 짤 때 시간 순으로 뭐하고, 뭐하고 짜는 것처럼 사람의 생각하는 방식과 비슷한 특징을 갖습니다. 즉, 프로그래밍 하기 더 좋다는거죠.)
- 이식성 (초기의 언어는 컴퓨터의 기반에 따라서 바뀌어야 했는데요. C언어는 이식성이 좋아 다양한 컴퓨터 기종에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 효율성 (효율적이라는데, 일단 보류네요^^;;)
소스 코드(Source code) - 작성된 것을 말합니다.
코딩(Coding) - 작성하는 과정을 말랍니다. (초반이니까 용어 정리를 철저히!)
이번 장에서 공부한 내용 정리
1. C 언어가 무엇을 하는 언어인지 살펴보았다.
2. 컴파일러가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3. 앞으로 자주 사용하게 될 VC++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았다.
1장은 이렇게 순식간에 끝났네요.
2장으로 ㄱㄱ
'Program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열형강의 C 프로그래밍 [6장 - printf와 scanf 함수에 대한 고찰] (0) | 2020.06.09 |
---|---|
[C언어] 열형강의 C 프로그래밍 [5장 - 상수와 기본 자료형] (0) | 2020.06.09 |
[C언어] 열형강의 C 프로그래밍 [4장 -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0) | 2020.06.09 |
[C언어] 열형강의 C 프로그래밍 [3장 - 변수와 연산자] (0) | 2020.06.09 |
[C언어] 열형강의 C 프로그래밍 [2장 -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0) | 2020.06.09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
- Framework
- 개념
- 오브젝트 스토리지
- Java
- C
- 자료구조
- 열혈강의 프로그래밍
- object storage
- Kubernetes
- 문자체크
- 열혈강의
- 특징
- 코딩
- 도커
- anyframe
- docker
- M2E
- Spring
- 블록 스토리지
- OSI7layer
- 쿠버네티스
- 파일 스토리지
- block storage
- C언어
- 정규식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숫자체크
- file storage
- RD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