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rogramming/CS Basic

RAID

Fabric 2022. 7. 6. 21:31
반응형

 

RAID (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 의 약자임.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것.

RAID는 디스크의 비용절감, 신뢰성 향상,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줌

 

Linear RAID, RAID 0, RAID 1, RAID 5, RAID 6 주로 사용

 

1. Linear RAID

최소 두 개의 하드디스크 필요

첫번째 하드디스크에 데이터가 완전히 저장된 후 다음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 순차적 )

하나의 하드 용량이 꽉 차면, 다음 하드 디스크에 저장

 

2. RAID 0 (스트라이핑)

최소 두 개의 하드디스크 필요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됨. 공간효율이 좋고, 속도가 가장 빠름. 

데이터가 분할되어 각각 하드디스크에 저장됨. 

한 개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를 잃음.

하드디스크 용량이 같아야함. 한쪽이 꽉 차면 사용 불가.

 

3. RAID 1 (미러링)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됨. 

안정성이 높지만, 데이터를 저장할때 두 배의 용량이 필요함.

중요한 데이터 저장에 사용.

 

4. RAID 2

기록용 드라이브와 복구용 드라이브를 별도로 둠.

4개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3개의 부가 데이터를 기록해야함.

효율 안좋음.

 

5. RAID 3, 4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크를 구성하고, 

패리티 정보 저장용 디스크를 하나 둠.

RAID3은 비트단위로 데이터 저장. 느림

RAID4는 블록단위로 데이터 저장. RAID 3보다 빠름.

데이터 변경시 패리티 데이터도 매번 변경되어야 함. 

패리티 데이터에 부하가 걸림. 

 

6. RAID 5

블록단위 스트라이핑으로 디스크 구성.

RAID 4에서 패리티 데이터를 각각 디스크에 분산시킴. 

안정성이 어느정도 보장되면서, 성능도 높임. 

 

7. RAID 6

RAID 5에서 패리티 데이터를 하나 더 기록한다. ( 더블 패리티 )

디스크가 두개까지 고장나도 데이터손실 발생 안함. 

안정성은 높아졌지만, RAID 5보다는 조금 느려짐.

 

 

반응형

'Programming > CS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orage ( Block, File, Object )  (0) 2022.07.06
Storage ( DAS, NAS, SAN )  (0) 2022.07.06
OSI 7 계층  (0) 2022.07.03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  (0) 2022.07.03
쿠버네티스 (Kubernetes)  (0) 2022.07.0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